박물관에 대한 기호학적 성찰 - 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본 박물관 공간

논문지 기호학연구 55집 조회수 925
저자 박여성
논문보기 05.박여성.pdf (1.9MB) (288)
일찍이 유럽 왕가와 귀족의 사적인 예술품 수집관에서 출발한 박물관은 계몽주의를
거치면서 소장품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연구와 기획을 통해 전시물을 제공하는 가운
데 오늘날 대표적인 문화적 기억장치로 자리 잡았다. 전 세계에는 4만 여개의 박물관
(유럽 2만개, 북미 1만개, 아시아 5천개, 기타 수천 개)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018년
6월 현재 762개의 박물관/미술관이 한국박물관협회(www.museum.or.kr)에 등재되어 있
다.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영리/비영리 기관들을 어떻게 부르건,1) 그 공통분모는 특정
한 테마를 중심으로 수집된 오브제들을 교육⋅학습⋅여가⋅오락⋅사업 등에 활용하는 
인공낙원이라는 점에 있다.
이 주제에 임하여 본고는 박물관을 교육학적으로는 박물관학과 문화교육의, 방법론
적으로는 기호학과 텍스트언어학의 공통관심사로 간주하고, 박물관을 텍스트성의 구
현체로서 조명하는 틀을 구상한다. I장에서는 박물관의 고전적 정의를 확장하여 박물
관을 복합적인 소통공간으로 보는 이른바 ‘신(新)박물관학’(Neue Museologie)의 과제를
설명한다. II장에서는 오스트리아의 건축이론가 카밀로 지테(Camillo Sitte)의 구상을
비롯한 도시⋅건축기호학 담론이 박물관의 소통적 특성 및 박물관성을 규정하는 텍스
트 유추 모델로서 적합한지 가늠해 본다. III장에서는 박물관이 텍스트성(Textualität)을
기준으로 충족해야 할 요건들을 개괄하고, 끝으로 IV장에서는 본고에서 얻은 소정의
결과에 기대어 향후의 과제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