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영상제작의 구조와 흐름

논문지 기호학연구 79집 조회수 276
저자 권승태
논문보기 기호학연구 79_1.권승태_ai영상제작의 구조와 흐름.pdf (1.5MB) (7)
AI영상제작의 구조와 흐름
- 기호학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권승태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상제작의 정체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새로운 영상 제작 방식이 실제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실천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호학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접목하여 영상제작에 적용하였다. 먼저 AI영상제작의 구조를 발견하기 위해 기존 영상제작과 자동AI 영상제작을 비교하여 계열과 과정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영상제작은 복제적 실사 이미지 중심의 복잡한 체계와 절차적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적 공동작업이라는 특징을 가지는 반면, 자동AI영상제작은 확률적 가상(합성) 이미지 중심의 단순한 체계와 실시간적으로 진행되는 자동화된 개인작업이라는 정체성을 지닌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제작 현장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명확히 양분되지 않은 채 각 계열의 특징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영상제작자는 실제-시나리오-영상-실제로 이어지는 연쇄적 번역 과정을 거치며 스토리를 완성해 나간다. 그 과정에서 AI는 새로운 행위자로서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해 실제 제작현장에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창작의 후보군을 넓히면서 인간의 창의성을 돕는다. 그러나 AI생성 영상은 아직 사실성, 일관성, 독창성이 부족하며 저작권 문제 또한 불명확한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영상제작에서 제작진이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사실적 세계를 창조했던 것처럼 인간과 AI의 네트워크 역시 연쇄적 번역 과정 속에서 상호 조율과 변형을 거치며 새로운 개연적 세계를 구성해 나갈 것이다. 따라서 AI가 과연 사실적인가, 창의적인가라는 질문보다는 새로운 영상 세계를 창조하기 위해 인간이 AI와 어떻게 협업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