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무신도의 신화적 접근

논문지 기호학연구 55집 조회수 915
저자 강연심
논문보기 01.강연심.pdf (7.1MB) (231)
우리나라는 문화시대를 맞아 미디어 중심으로 글로벌 한류문화가 형성은 되었어도
한국을 방문한 이들에게 기억할만한 차별화된 콘텐츠들은 아직도 부족하다. 웹툰
(webtoon)에서 영화로 개봉된 ‘신과 함께-죄와 벌’을 통해 우리나라 신화소재로 차별화
된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신화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문화콘텐츠의 글로벌화에 있어서 차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 차별화
는 뿌리깊이 작용하고 있는 민족성에서 찾아야 한다. 문화콘텐츠화의 문제점으로 대
두된 모티브의 부재와 우리나라 신화 이미지 관련 콘텐츠의 부재, 특히 신화가 무속인
을 통해 전승되어 저급성에 대한 이미지 탈피 등 우선적 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중요민속자료 24호로 지정된 「제주 내왓당 무
신도 10신위」에 표현된 이미지들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경
우 그 표현에 있어서 육지부의 무신도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표현 내용에 있어
서는 연구자들마다 독특하고 기이하다는 표현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 우시
우스 웡(Wuciwus Wang)의 디자인 형태론 분석에서 재현된 요소들이 신화와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는 도상
학적 측면에서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되어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도상학적 해
석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도상학적 해석은 도상학
인식단계에서 우시우스 웡의 디자인형태분석에서 재현적 요소를 활용하였고, 도상학
분석부분에서 관련된 문헌들을 찾아 최종적으로 해석했다. 파노프스키 도상학적 측면
에서 분석한 결과, 많은 부분 우리 역사속의 신화의 맥락과 일치하였고, 우리민족의
내재적 상징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