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신화성과 반신화성 - 도상성을 중심으로

논문지 기호학연구 54집 조회수 1056
저자 송효섭
논문보기 04.송효섭.pdf (1.1MB) (261)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는 과정이 기술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기
표가 지시물을 나타내는 기호작용의 법칙이 드러난다. 이 글에서 필자는 기표와 지시
물 간의 도상적 관계에 주목하여, 이에 작용하는 신화적 유형과 반신화적 유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신화적 유형은 당시의 지식층의 사유를 지배했던 음양오행과 천지인 삼재의 원리로
나타난다. 이러한 원리에 군주의 절대적 권력이 결합하여, 그것은 더 이상 논박 가능한
로고스가 아닌 절대적 믿음의 대상인 뮈토스가 된다. 그것은 매우 형이상학적이며 또한
거대서사를 감추고 있다. 그것은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목소리이며, 또한 지역적으로는
중국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것이 훈민정음의 소리(글자) 체계에 그대로 반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훈민정음의 도상기호의 생성에는 반신화적 유형이 개입되기도 한
다. 훈민정음은 절대적 권력을 가진 세종이라는 군주의 기획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
만, 그 의도가 매우 계몽적이며 실용적이다. 그것은 과거의 문제가 아닌 당대의 문제이
며, 특정 권력 계층이 아닌 일반 계층에 대한 수혜의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당대
의 실제적 상황에서 기획되고 진행된 것이라는 점에서, 그것은 로고스에 해당하는 것
이다. 실제로 최만리 등과의 담론적 투쟁도 있었는데, 이는 훈민정음이 로고스적 인식
에 의해 창제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훈민정음의 도상기호에서
지시물은 인간의 발성기관인데, 이는 그 도상기호가 ‘몸으로부터 나온 소리는 그 몸과
닮는다’는 실제적인 지표성을 함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신화적 유형에 지배
된 형이상학이나 거대서사가 해체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후, 훈민정음은 그것이 쓰이는 순간부터, 그것이 기댔던 형이상학이나 거대서사
의 뮈토스가 해체되고, 백성들을 편케 하는 실용적 기호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발휘하
게 된다. 오늘날 우리가 한글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문화적 가능성은 끊임없이 생성
되는 뮈토스에 대한 이러한 로고스의 해체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