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보들레르 시 「백조」의 정념과 담화 기호학적 분석

프랑스 보들레르 시 「백조」의 정념과 담화
기호학적 분석

홍정표

  본 논문은 담화 현동태와 『악의 꽃』에 대해서 알아보고,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에 수록된 「백조」를 정념과 담화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퐁타닐은 담화 기호학에서 우리가 사는 공간 속에서 신체가 어떤 양식으로 공간적 지각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연구했다. 그는 주체가 되기 이전의 감각적인 신체를 현동태라 지칭했으며, 주체가 세계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장, 지향 행위소와 포착 행위소를 가리키는 위치 행위소, 신체의 실존적 체험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는 깊이, 지각 행위소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수사학적 차원을 명시했다. 프랑스 상징주의 선구자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은 상징주의 시의 원조일 뿐 아니라 서구 현대시를 낳은 거대한 작품으로 간주되고 있다. 우리가 선택한 시 「백조」는『악의 꽃』 제2장 ‘파리 풍경’ 중에 서 가장 아름다운 시들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이 시에 시인의 시적 창조의 정수가 요약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백조」는 파리라는 대도시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고통과 상실감을 담아냈으며, 조국과 남편을 잃은 과부, 고향을 잃은 백조, 도시의 낙오자들은 모두 시인 자신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사라져 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과 노스탤지어이며, 고대 신화를 문학적으로 변용하여 시를 더욱 더 아름답고 깊이 있게 하였다. 분석에서는 담화 기호학의 여러 가지 분석 도구를 활용했으며, 정념 기호학적 분석에서는 「백조」의 주체가 /∼이기를 원함/, /∼이어야 함/, /∼이 아님을 앎/, /∼일 수 없음/의 네 가지 양태 장치로 특징지어지며, 주체는 이러한 양태 장치로 이루어지는 상실감의 정념을 느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이 시는 전체적으로 결핍감을 나타냄으로써 긴장도식에서 높은 강도와 낮은 범위가 결합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백조」가 아직 기호학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작품인 만큼, 정념과 담화 기호학의 방법론에 역점을 두어 조명함으로써 그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