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발달에 관한 문화기호학적 연구-드라마 <미생>의 서사를 중심으로

논문지 기호학연구 43집 조회수 1740
저자 이병준, 이경아
논문보기 7. 이병준.pdf (1.1MB) (265)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조직도 문화가치들의 특정교환을 성취하기 위해서 기호
들이 사용되는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직 역시 의미를 생
성하는 하나의 발화체로서 파악할 수 있다는 논리에 기인한다. 지금까지의 문화기호
학의 관심은 주로 문학, 광고, 영화 등에 등장하는 행위와 대화의 텍스트에 집중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벗어나 최근에 중요한 기호적 존재로 부각되고
있는 공간과 신체성, 물질성, 의례적 상호작용 등을 중심으로 이것이 우리의 일상에
재현하고 있는 문화적 기호들의 담론과 서사가 지니는 의미를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의 문화적 인지를 이끄는 문화기호학적 요소를 선정하고,
문화기호학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도구를 제시한 다음, 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변화에

대한 문화기호학적 해석을 시도하는 흐름을 따르고자 한다. 분석의 대상은 2014년 방
영된 드라마 <미생>이다. <미생>은 기업 조직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높은 공
감과 평가를 받은 바 있는 작품이다. 분석을 위해 Greimas의 의미작용모델, Reicoure의
미메시스적 관점, 반 게넵(Van Gennep) 의 통과의례적 접근을 활용한다. 분석을 통해
신입사원들이 조직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문화” 기호들을 어떻게 학습하고 해석하
며, 어떠한 “문화인지적”인 발달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해 해석한다. 뿐만 아니라 공간
과 신체성, 공동체 의례의 형성에 기반하여 각기 다른 문화기호적 학습의 전이과정과
의미작용이 “조직”이라는 곳에서의 문화를 어떻게 역동적으로 유지시키고 변화시키는
지도 파악한다. 이는 조직이 가지는 일상의 작은 리듬까지 밝혀내어 학습과 조직의 문
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데올로기와 담론에 관한 다양한 기호와 이미지 등의 현전
을 정밀히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변화가
조직의 문화 변화에 미칠 영향의 도출까지 확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